어렵게 애드센스 승인을 받아 자신의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광고가 나오도록 설정을 마쳤다면 애드센스 사이트를 들락거리며 수익을 확인하게 됩니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아무래도 파란색으로 예상 수입 카드일텐데요. 이 예상수입을 이루는 내용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좀 더 높은 수익을 위한 방법들을 찾을 수가 있습니다.
내 수입을 만들어내는 구성 요소들은 예상 수입 섹션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실적 카드'에 나타납니다. 오늘은 애드센스 보고서 활용의 첫단계로 이 '실적 카드'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페이지뷰 (Page View)
광고가 있는 페이지를 방문자들이 본 횟수입니다. 다시 말해 애드센스 광고가 삽입된 내 사이트의 페이지를 방문자들이 몇 페이지나 보았는지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 네이버 블로그의 조회수에 해당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수익을 올리기 위해선 우선 이 페이지뷰가 기본입니다. 조회수가, 방문자수가 높아야 광고 노출 횟수도 클릭할 확률도 높아지는 거니까요
2. 페이지 RPM
페이지뷰가 1000일때 발생이 예상되는 수익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예상 수입을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다음 1,000을 곱해서 나온 값입니다. 예를 들면, RPM 값이 3$ 이라면 페이지뷰가 1000일때 3$의 수익이 예상된다는 의미입니다.
위의 제 RPM은 대게 낮네요.ㅠㅠ 1주일 평균으로 5$ 정도가 일반적입니다만, 고수들은 20~30$이 된다고 합니다. 페이지뷰가 어느정도 나옴에도 불구하고 이 수치가 낮다면 광고의 배치에 대해 고민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3. 노출수
광고가 방문자에게 노출된 횟수를 말합니다. 보통 한페이지에 여러개의 광고가 송출되기 때문에 페이지뷰보다 높은 수치가 나옵니다. 페이지마다 나타나는 광고의 수가 다르긴 합니다만 위의 제 경우를 계산해 보면 평균 4.6개의 광고가 노출되고 있네요.
4. 클릭수
말 그대로 방문자가 광고를 실제로 클릭한 횟수입니다. 수익과 직결되는 수치입니다. 물론 클릭수가 같다고 수익이 같진 않습니다. 광고당 단가가 다르고, 같은 광고라도 위치에 따라서 또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클릭수를 높이려고 클릭을 유도하는 문구는 절대 넣지 마시기 바랍니다. 광고 클릭 유도는 계정 정지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5. CPC (Cost per Click)
영문 해석 그대로 클릭당 단가입니다. 방문자가 광고를 한번 클릭했을때 발생하는 평균 수익입니다. 즉 CPC가 0.5이고 클릭수가 10이면 5$의 수익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위의 제 경우는 0.1로 아주 낮은데요, 0.1$~0.3$ 사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0.2$을 평균으로 두고 본인의 수치를 비교해 보시면 될 듯합니다.
애드센스 수입을 높이기 위해 CPC 단가를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높은 단가의 광고를 송출하기 위해서는 키워드를 통해 원하는 광고를 유도하거나, 노출되는 광고의 종류를 임의로 제한하는 방법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페이지 CTR (Click Through Ratio)
클릭수를 페이지뷰로 나눈 값입니다. 조회수 대비 광고 클릭률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제 경우에 (4 / 572) x 100 = 0.7% 가 나오게 됩니다.
CTR 수치가 높다는 것은 방문자들이 광고를 클릭하는 확률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클릭수, CPC와 더불어 수익과 직결되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첫페이지의 실적카드 읽는 법을 알아보았는데요, 높은 수익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CPC와 페이지 CTR입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달고 있는 블로거라면 고단가의 광고를 송출하고, 그것을 클릭하는 확률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 항상 연구해야 됩니다. 앞으로 하나씩 같이 공부해보겠습니다.
[IT 정보] - 티스토리 페이지별 애드센스 수익 보는 법 with 애널리틱스
[IT 정보] - 하위 도메인 설정하기 (티스토리, 애드센스)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테크 종류별 추천 어플 (0) | 2020.09.24 |
---|---|
테슬라 배터리데이 발표 내용 총정리 (0) | 2020.09.23 |
티스토리 페이지별 애드센스 수익 보는 법 with 애널리틱스 (0) | 2020.09.10 |
하위 도메인 설정하기 (티스토리, 애드센스) (0) | 2020.09.03 |
서브/하위 도메인 만드는 방법 (가비아 CNAME 레코드 추가 설정) (0) | 2020.09.03 |
댓글